티스토리 뷰
외고 열풍은 끝났다는데, 대원외고는 왜 다를까"
2025년에도 대원외고는 여전히 상위권 학생들과 학부모의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특목고 제도의 변화, 외고 축소 흐름 속에도 대원외고가 꾸준히 주목받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입시 결과, 교육 방식, 진로 다양성까지 - 대원외고만의 차별화된 경쟁력을 짚어봅니다.
(외고의 흐름은 바뀌었지만, 대원외고는 여전히 ‘입시 전략의 카드’로 남아 있습니다.
지금 우리 아이에게 필요한 환경이 바로 이곳일지도 모릅니다)
1. 외고 폐지 논란 속에서도 대원외고는 ‘예외’였다
“외고는 옛날 얘기 아니야?”
최근 몇 년간 외고 폐지 논의와 함께 ‘외고 무용론’이 제기됐지만, 대원외고는 예외적 흐름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서울 외고 중에서도 대원외고는
- 지속적으로 서울대 인문계 진학률 상위권
- 해외대 진학 실적 강세
- 정시·수시 균형 높은 내신 커리큘럼
을 유지하며 상위권 학부모들의 선택지로 꾸준히 자리 잡고 있습니다.
특히 2025 입시에서도 중3 학생들과 학부모들이 **‘외고라면 대원’**을 가장 먼저 떠올릴 정도로 브랜드 가치와 실적의 균형을 갖춘 학교로 평가됩니다.
“대원외고는 아직도 ‘입시용 외고’로 충분히 기능합니다.”
— 입시 컨설턴트 인터뷰 중
2. 커리큘럼의 내공이 다르다 – 단순 외국어가 아닌 입시 전략 그 자체
대원외고가 외고 중에서도 독보적으로 살아남는 이유는 단지 영어를 잘 가르쳐서가 아닙니다.
교육 설계 자체가 ‘입시 전략의 정수’에 가깝기 때문입니다.
다른 외고들이 단순한 어학 위주 프로그램에서 내신 경쟁에만 초점을 맞췄다면, 대원외고는 **‘외국어를 기반으로 한 융합적 학문 접근’**을 구현해 왔습니다.
· 실제 사례 – 영어과 학생 커리큘럼
- 영어 원서 읽기 → 에세이 작성 → 발표 → 토론 → 비판적 분석 → 논문 형식 정리
- 주제 : 글로벌 이슈, 정치·경제, 환경, AI 윤리 등
- 결과 : 인문사회계 학종 서류 + 심층 면접까지 연계되는 사고력 완성
또한, 사회·경제·역사 등 인문계 핵심 과목의 수업 방식도 구조적으로 다릅니다.
정답형 문제보다 탐구형 주제와 자료 분석형 수업이 기본이며, 이 과정은 자연스럽게 수시 준비, 면접, 자기소개서까지 이어지는 시스템입니다.
“대원외고 수업은 과목이 아니라 전공에 가깝습니다.”
— 대원외고 졸업생, 서울대 사회과학계열 진학 인터뷰
외고지만 수학·과학 선택도 탄탄
대원외고는 국어·수학·과학의 이과 선택 과목도 개설해 “문과 두뇌지만 수학에 강한 학생”에게도 정시 대비까지 가능한 균형 잡힌 학습 환경을 제공합니다.
3. ‘결과’보다 ‘구조’가 살아있는 학교 – 실적은 예고된 결과
대원외고는 년 서울대·연세대·고려대 등 주요 대학 인문계 학과에 최상위권 실적을 유지하고 있으며,
특히 해외대학 진학률은 외고 중에서도 독보적입니다. 하지만 중요한 건 이 실적이 단지 학생 개인의 스펙이 아닌 학교 시스템에서 비롯되었다는 점입니다.
· 실례 – 해외대 진학 사례
- 2024 졸업생 A양, Harvard University 진학
→ 영어 원어민 토론반 + 국제관계 논문 프로젝트 + UN 모의 회의 참가
→ 자기소개서와 인터뷰에서 커리큘럼 경험 그대로 녹여냄
· 실례 – 서울대 사회학과 합격 사례
- 대원외고 국어과 B군
→ 논술 동아리 활동 + 현대사 탐구 보고서 + 사회문제 비평 수업
→ 서류평가와 심층면접에서 “사고력 기반 수업경험”이 강한 인상 남김
이처럼 대원외고는 단순한 ‘입시 대비’가 아닌 학생 스스로 생각하고 표현하는 역량을 길러주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습니다.
이 시스템이 바로 외고 폐지 논의 속에서도 “대원외고만은 구조적으로 필요하다”는 여론을 만드는 결정적 이유입니다.
“외고라는 이름을 빼도, 대원외고는 여전히 살아남을 것이다.”
— 전직 외고 교장 인터뷰 中
결론 – 외고는 흔들려도, 대원외고는 무너지지 않는다
외고 폐지는 정책이지만, 학교의 경쟁력은 시스템이 만든 결과물입니다.
대원외고는 이름이 아니라 내용으로 존재감을 증명해 온 학교입니다.
√ 진로가 명확하지 않아도,
√ 영어와 인문사회적 감각이 살아 있다면,
√ 구조화된 커리큘럼 안에서 성장하고 싶다면,
대원외고는 여전히 최고의 선택지 중 하나입니다.
'교육 > 입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과고·외고 입시 완전 로드맵 (내신, 자소서, 면접 전략) (2) | 2025.05.07 |
---|---|
과고 VS 외고, 진로는 어디로 이어질까? 대학 진학 비교 분석 (1) | 2025.05.03 |
우리 아이에게 과학고가 맞을까? 이런 학생이라면 유리합니다 (1) | 2025.04.26 |
과학고 vs 외고, 입시는 같아 보여도 전혀 다릅니다 – 2025 핵심 비교 (0) | 2025.04.22 |
[2025 모의고사 등급컷] 바로 확인! (0) | 2025.04.05 |